더케이내과의원

녹내장


MIRYANG HOSPITAL

녹내장이란?

눈으로 받아들인 빛을 뇌로 전달하는 시신경에 이상이 생김에 따라 시야결손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시신경에 이상이 생기면 시야손상이 발생하고, 방치할 경우 실명에 이를 수 있습니다.

안압이 높아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안압이 정상 범위라도 안압의 하루 변동 폭이 크거나 시신경으로 가는 혈액순환이 잘 안되는 경우, 유전자 이상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녹내장이 발생합니다.

눈으로 받아들인 빛을 뇌로 전달하는 시신경에 이상이 생김에 따라 시야결손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시신경에 이상이 생기면 시야손상이 발생하고, 방치할 경우 실명에 이를 수 있습니다.

안압이 높아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안압이 정상 범위라도 안압의 하루 변동 폭이 크거나 시신경으로 가는 혈액순환이 잘 안되는 경우, 유전자 이상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녹내장이 발생합니다.

MIRYANG HOSPITAL

발생원인

/_files/6sUTLKsE1.gif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
가장 흔한 녹내장 유형으로, 방수 배출구가 열려있다고 하여 개방각 녹내장이라고 불립니다.
방수 배출 부위의 저항이 증가하여 안압이 상승하면서 녹내장성 손상이 진행되는 경우와, 안압은 정상 범위로 알려진 21mmHg 이하지만 녹내장성 손상이 발견되는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급성 폐쇄각 녹내장
방수의 배출구가 갑자기 막히면서 안압이 급격히 증가하고, 심한 안구통, 충혈, 시력 저하, 두통 및 구역질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안구의 해부학적인 구조가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노인이 갑작스러운 안통과 편두통을 호소하면 반드시 이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만성 폐쇄각 녹내장
방수의 배출수가 막혀서 안압이 올라간다는 점에서는 급성 폐쇄각 녹내장과 같지만, 이러한 변화가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만성 개방각 녹내장처럼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약물과 관련된 녹내장
스테로이드 제제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안압이 상승하여 녹내장이 발생합니다.
약물 사용을 중단하면 안압이 떨어지는 경우도 많지만, 만성적인 안압 상승으로 인해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아 녹내장
대개 생후 6개월 이내의 아이들이 빛에 매우 민감하거나, 눈물을 흘리거나, 검은자가 다른 아이들에 비해 큰 경우가 있는데, 이는 안구 내 구조가 정상아에 비해 다르기 때문에 구조상 이상으로 안압이 상승하여 발생합니다.

MIRYANG HOSPITAL

증상

  • 01두통, 메스꺼움, 어깨 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02불빛을 보면 그 주위에 무지개 같은 것들이 보입니다.
  • 03시야가 점점 좁아지면서 몸의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게 됩니다.
  • 04한쪽 눈을 감고 보면 안개가 낀 것처럼 뿌옇게 보입니다.
  • 05시력이 저하된 것 같은 느낌과 눈이 아프고 무거워집니다.
  • 06눈에 이물질이 들어간 듯한 느낌이 듭니다.

MIRYANG HOSPITAL

치료법

  • 약물치료

    하루에 1회에서 수 회까지 안구에 직접 약물을 점안하여 안압을 하강시키거나 안혈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한 가지의 점안약으로 효과가 없을 때는 두 가지 이상의 점안약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레이저치료

    레이저를 안구 내 구조물에 조사하여 안구 내 구조를 바꿈으로써 안압을 하강시키는 방법으로, 폐쇄각 녹내장이나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개방각 녹내장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 수술치료

    안구 내 방수가 안구 외벽을 타고 적절한 정도로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로 만들어 주는 원리로, 흔히 시행되는 방법으로는 섬유주 절제술 및 방수 유출 장치 삽입술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