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케이내과의원

허리.목디스크


MIRYANG HOSPITAL

중추.말초신경계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뉩니다.
중추 신경은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체의 여러 감각기관 정보를 모아 처리하고,
말초 신경은 감각을 전달하는 신경과 운동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이 있습니다.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뉩니다.
중추 신경은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체의 여러 감각기관 정보를 모아 처리하고,
말초 신경은 감각을 전달하는 신경과 운동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이 있습니다.

MIRYANG HOSPITAL

진료분야

/_files/6sY7hj7u_.gif
뇌혈관
뇌혈관으로 터지는 뇌출혈과 막히는 뇌경색, 뇌동맥류, 뇌동정맥 기형 등에 대한 진단과 치료
뇌종양
뇌에서 발병하는 양성과 악성 뇌종양에 대한 진단과 치료
척추
요통을 포함한 척추 부위에서 발생하는 통증, 추간판, 탈출증, 종양 등에 대한 진단과 치료
운동장애
뇌출혈, 뇌졸중, 악성 뇌종양, 양성 뇌종양, 퇴행성 척추 장애, 뇌동맥류, 뇌동정맥 기형, 혈관종, 안면 경련, 파킨슨병, 뇌성마비, 수두증, 간질, 요통, 경추부 통증 등

MIRYANG HOSPITAL

허리디스크란?

디스크는 쿠션 역할을 하여 충격을 완화시키고 척추 뼈가 밀리지 않고, 척추 뼈들이 부딪히지 않도록 보호해줍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수핵의 수분함량의 감소로 탄력성이 떨어지면서, 또한 갑자기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오랫동안 취하면 디스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서 디스크가 밖으로 돌출됩니다.

심한 경우 디스크를 감싼 막이 터지면서 그 안에 있는 수핵이 튀어나오는데,
이렇게 디스크가 밀려나 주위 신경근을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허리디스크(요추 추간판 탈출증)이라 합니다.

디스크는 쿠션 역할을 하여 충격을 완화시키고 척추 뼈가 밀리지 않고, 척추 뼈들이 부딪히지 않도록 보호해줍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수핵의 수분함량의 감소로 탄력성이 떨어지면서, 또한 갑자기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오랫동안 취하면 디스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서 디스크가 밖으로 돌출됩니다.

심한 경우 디스크를 감싼 막이 터지면서 그 안에 있는 수핵이 튀어나오는데,
이렇게 디스크가 밀려나 주위 신경근을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허리디스크(요추 추간판 탈출증)이라 합니다.

MIRYANG HOSPITAL

허리디스크 증상

  • 01허리가 쑤시고 묵직한 느낌의 통증이 발생합니다.
  • 02허리를 굽히거나 의자에 앉으면 통증이 심합니다.
  • 03허리,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끝이 저리거나 당기고 통증이 발생합니다.
  • 04누워서 다리를 들어올리면 다리의 뒷부분이 당겨 자세를 취하기 어렵습니다.
  • 05허리가 뻣뻣하고 움직일 때마다 통증이 발생합니다.

MIRYANG HOSPITAL

허리디스크 치료

  • 01
    침상 안정 및 물리 치료
    추간판에 가해지는 중력을 제거하기 위해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수일 동안 침상 안정을 취하고 골반 견인, 물리 치료 등을 시행합니다.
    급성기의 증상이 없어지면 복대나 보조기 등을 착용하고 활동할 수 있지만, 복대나 보조기를 장기간 착용하면 허리 근육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보조기를 착용하는 동안 요근, 둔근, 복근, 사두고근 등의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실시합니다.
  • 02
    약물 치료
    소염진통제, 근육이완제 등과 같은 약물 투여도 병행합니다.
  • 03
    수술적 치료
    일반적으로 전신 마취 후 현미경 시야에서 최소 절개(약 2~3cm)하여 뼈(후궁판)에 조그만 구멍을 만들고, 탈출한 추간판을 절제합니다.
    수술은 일상생활에 장애가 생기면 신경을 누르고 있는 추핵을 제거하는데,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신경마비가 심하거나 통증이 심할 경우
    ② 발가락이나 발목의 힘이 현저하게 약해져 있는 경우
    ③ 대소변을 보는 힘이 약해진 경우
    ④ 다리를 전혀 움직일 수 없는 심각한 마비 증상을 보이는 경우

MIRYANG HOSPITAL

목디스크란?

디스크는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조직으로,
추간판 중심부에는 젤리 같은 '수핵'이 있고, 외부층은 질긴 '섬유륜'이 있어 수핵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추간판이 부풀어 오르거나 수핵이 새어나와서 척추 신경을 물리적으로 압박하고 염증을 유발하는 화학물질이 신경을 자극하면
신경이 붓고 염증이 생기면서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척추 중 목 부분인 경추에서 디스크가 밀려나와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목디스크(경추 추간판 탈출증)라고 합니다.

디스크는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조직으로,
추간판 중심부에는 젤리 같은 '수핵'이 있고, 외부층은 질긴 '섬유륜'이 있어 수핵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추간판이 부풀어 오르거나 수핵이 새어나와서 척추 신경을 물리적으로 압박하고 염증을 유발하는 화학물질이 신경을 자극하면
신경이 붓고 염증이 생기면서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척추 중 목 부분인 경추에서 디스크가 밀려나와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목디스크(경추 추간판 탈출증)라고 합니다.

MIRYANG HOSPITAL

목디스크 증상

  • 01목을 뒤로 젖히면 심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 02어깨에 지속해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 03원인을 알 수 없는 두통이 지속됩니다.
  • 04팔과 손가락에 저린 느낌이 나타납니다.
  • 05물건을 쉽게 놓치거나 쥐는 힘이 약해져 있습니다.

MIRYANG HOSPITAL

목디스크 치료

  • 01
    보존적 치료
    근육통을 많이 호소하는 목디스크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온열요법 등의 보존적 요법을 많이 시행합니다.
  • 02
    수술적 치료
    6주 이상 보존적 치료를 진행하여도 증상 개선 효과가 적어서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의 통증이 지속되거나,
    통증 때문에 잠을 잘 수 없을 때, 병세가 점점 악화하면 상태가 더 나빠지기 전에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목 디스크 수술은 목 앞쪽으로 접근해서 손상된 디스크를 제거한 후 고정하거나 인공 디스크로 대체하는데,
    간혹 디스크가 탈출해서 떨어져 나와, 신경근을 압박하면 목 뒤로 접근해서 후궁 일부를 절제한 후 탈출한 디스크만 제거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