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케이내과의원

통풍성관절염


MIRYANG HOSPITAL

통풍성관절염이란?

통풍을 유발하는 요산은 '퓨린'이라는 단백질에 의해 생성됩니다.

퓨린은 음식을 통해 섭취되어 체내에서 요산이라는 찌꺼기로 대사되고 다시 소변으로 빠져나갑니다.
이때 요산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쌓이면 통풍이 생기게 됩니다.

요산은 모든 장기에 침착할 수 있는데, 요산이 관절 주변 조직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는 것을 통풍성관절염이라고 합니다.

통풍을 유발하는 요산은 '퓨린'이라는 단백질에 의해 생성됩니다.

퓨린은 음식을 통해 섭취되어 체내에서 요산이라는 찌꺼기로 대사되고 다시 소변으로 빠져나갑니다.
이때 요산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쌓이면 통풍이 생기게 됩니다.

요산은 모든 장기에 침착할 수 있는데, 요산이 관절 주변 조직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는 것을 통풍성관절염이라고 합니다.

MIRYANG HOSPITAL

단계별 발생하는 증상

/_files/6sZYUZYP-.gif
1. 무증상성 고요산혈증
혈청 요산의 농도는 증가한 반면 관절염 증상, 통풍 결절, 요산 콩팥돌증 등의 증상은 아직 나타나지 않은 상태입니다.
2. 급성 통풍성관절염
밤에 매우 고통스러운 통증이 있으며 관절이 붓고, 열이 나며 붉게 변합니다.
3. 간혈기 통풍
급성 통풍 후 1년 이내 재발하거나 10년간 증상이 없는 상태가 간헐적으로 지속되는 상태입니다.
4. 만성 결절성 통풍
통풍 결절이 서서히 생기고 결절 자체의 통풍보다는 이것이 침범한 관절에 통증이 심해지기 시작합니다.
결국 관절의 광범위한 손상과 함께 피부 밑에 큰 결절이 생성되어 손과 발이 괴상한 형태로 변해갑니다.

MIRYANG HOSPITAL

단계별 치료법

/_files/6sZYW1BBf.gif
  • 01
    무증상성 고요산혈증
    - 원칙보다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의사의 판단 하에 치료를 결정합니다.

    - 비만, 고지혈증, 알코올 중독, 고혈압 등과 관련한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02
    급성 통풍성관절염
    - 가능한 신속하게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 콜히친(coldchiaines), 비스테로이드 항염제,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03
    간혈기 통풍
    - 통풍 완화와 요산 배설의 작용이 있는 소량의 콜히친을 매일 복용하면 급성 통풍 발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 3~6개월간 예방적 사용 후에 복용을 중단할 수 있지만 이때 급성 통풍발작이 악화되기도 합니다.
  • 04
    만성 결절성 통풍
    - 항고요산혈증 약물을 이용하여 고요산혈증을 조절하면 요산이 조직에 침착되는 것을 예방하고 혈중 요산 농도를 정상화할 수 있습니다.

    - 주로 사용되는 약물은 알로퓨리놀, 프로베네시드 등의 요산배설촉진제가 있습니다.

MIRYANG HOSPITAL

예방을 위한 식이요법

  • 01요산이 체내에 많이 쌓이는 퓨린이 많은 음식의 섭취는 피합니다.
  • 02고퓨린 함유 식품인 내장, 육즙, 등푸른 생선류는 주의해서 제한합니다.
  • 03단백질은 두부, 달걀, 우유, 살코기, 흰살 생선 등으로 섭취합니다.
  • 04소변으로 요산이 잘 배설될 수 있도록 1일 2L 이상 수분을 섭취합니다.
  • 05알코올은 요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배설을 억제하므로 금주해야 합니다.
  • 06지방은 요산 배설에 방해가 되므로 기름기가 많은 음식은 자제합니다.

MIRYANG HOSPITAL

통풍상식 Q&A

  • Q.

    통풍은 아플 때만 치료한다?(클릭하기)

    대개 급성 통풍이 나타날 때만 치료하는 경우가 있는데, 통풍은 원인이 되는 요산을 꾸준히 감소시키는 치료를 하여 불구와 신장질환을 예방해야 합니다.
    통풍의 첫 발작 후 20년이 지나서 통풍결절이 나타나는 환자가 28%이고, 이 중 2~3%는 심한 불구가 됩니다.
    또한, 통풍 환자의 사망 원인의 10%를 차지하는 신부전증을 예방하고 관리하여야 합니다.
  • Q.

    혈중 요산수치가 높을 때만 통풍이다?

    고요산혈증이 있는 경우 통풍이 발생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급성 통풍은 혈중 요산수치가 정상이어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급성 통풍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에는 이뇨제, 음주, 세포독성 항암치료, 과식, 금식, 심한 다이어트 등이 있습니다.